|
||||||||||||||||||||||||||||||||||||||||||||||||||||||||||||||||||||||||||||||||||||||||||||||||||||||||||||||||||||||||||||||||||||||||||||||||||||||||||||||||||||||||||||||
|
||||||||||||||||||||||||||||||||||||||||||||||||||||||||||||||||||||||||||||||||||||||||||||||||||||||||||||||||||||||||||||||||||||||||||||||||||||||||||||||||||||||||||||||
배고픔과 수면은 기본적인 생물학적인 욕구로 두 가지 모두 항상성과 일주기의 영향을 받는다. 수면 관련 식이 장애는 이러한 두 가지 욕구의 조절 이상으로 식이 문제와 수면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 속하는 환자들은 비렘수면 동안 일어나는 이러한 식이 행동 자체를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일부만을 기억한다. 수면 관련 식이 장애의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몽유병과 식이장애가 동시에 나타나므로 두 질환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추론되고 있다. 최근에는 약물로 인한 수면 관련 식이 장애도 계속 보고되고 있다.
특히 수면제에 의한 수면 관련 식이 장애 증례가 많이 보고되어 수면제를 복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아직 수면 관련 식이 장애 치료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지만 최근 수면 관련 식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과 비교한 연구에서 하지불안증후군 치료제가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보고가 있었고 증례 보고 중에는 항우울제나 벤조디아제핀도 효과를 보였다. 또한 동반된 수면 장애의 치료에 초점을 맞춘 전략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약물로 유발된 수면 관련 식이 장애라면 무엇보다도 수면 관련 식이 장애의 원인이 되는 약물의 중단이 치료에 가장 중요하다. 행동 치료 전략은 전체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음식을 대신하는 대체 행동의 개발, 수면 위생, 스트레스 관리 등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수면제를 복용할 때 수면 관련 식이 장애의 가능성을 생각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
| ||||||||||||||||||||||||||||||||||||||||||||||||||||||||||||||||||||||||||||||||||||||||||||||||||||||||||||||||||||||||||||||||||||||||||||||||||||||||||||||||||||||||||||||
|